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영재교육
- 직장인
- 초등학생
- sk텔레콤
- 2024년종소신고
- 국가자격증
- 프리랜서
- 국세청
- 육아
- 넥스트레이드
- 주식대체거래소
- 성경읽기
- 나종호교수
- 기후변화
- 홈텍스
- 시민부담증가
- 개인정보유출
- 서울특별시
- 환급금
- 집중력
- 보건복지부
- 기도
- 행정안전부
- 어린이날
- 24절기
- 책소개
- 여성가족부
- 교육부
- 종합소득세
- 인공지능
Archives
- Today
- Total
준호할배
유연근무제, 일과 삶의 균형을 찾는 새로운 방법 본문
728x90
유연근무제, 왜 주목받고 있나요?
최근 많은 직장인들이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유연근무제는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고, 육아 등에 집중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근무 형태입니다. 특히 선택근무제는 유연근무제의 한 종류로, 주당 정해진 시간 안에서 하루 근무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6살 자녀를 둔 직장인 A씨는 유연근무제를 활용해 아이 등하원 시간에 맞춰 출퇴근 시간을 조정했습니다. A씨는 오전 10시에 출근하고 오후 7시에 퇴근하며, 남편은 오전 7시에 출근해 오후 4시에 퇴근하여 아이 하원을 담당한다고 합니다. 아이 유치원 소풍 등 특별한 일정이 있을 때에는 부부가 출퇴근 시간을 다시 조정하기도 했습니다. A씨는 아이가 어릴 때부터 유연근무를 신청했고, 남편과 함께 출퇴근 시간을 조율하여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대기업들의 유연근무제 도입 현황은 어떤가요?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선택근무제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합니다. 주요 대기업 10곳 중 7곳에서 선택근무제가 이미 정착되거나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1월 사업보고서 서식을 개정하여 각 기업이 유연근무 지표를 의무적으로 공시하도록 했습니다. 중앙일보가 국내 10대 그룹 주요 계열사의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7곳은 2022년보다 지난해 선택근무제를 활용한 직원 수가 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전체 임금근로자 중 81%인 10만 5419명이 선택근무제를 활용하여 활용률과 인원수 모두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서 SK이노베이션이 80%의 활용률을, LG전자가 72%의 활용률을 보였습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정해진 근로 시간만 지키면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사내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어 육아 등 개인 일정에 맞춘 근무가 가능해 직원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3만 410명이 선택근무제를 선택했지만, 전체 임금근로자 대비 비율은 40%였습니다. HD현대중공업의 활용률은 29%였고, 한화생명은 10%대를 기록했습니다.
유연근무제가 기업과 직장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유연근무제확대는 기업의 인구위기 대응 전략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2025년도 인구경영 우수기업 평가'에서 기업 평가 항목 중 '일·가정 양립 지원'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이 항목은 기업이 유연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지를 기준으로 삼는다고 합니다. 재계 관계자는 유연근무제가 직원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말했습니다.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서는 근로자의 근무 유연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업은 생산성과 근로자 만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도록 유연한 인사 관리 전략과 노사 간 협의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유연근무제 확산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가요?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유연근무제 활용 격차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정규직의 유연근무제 활용률은 20.1%로 늘었지만, 비정규직은 6.9%로 줄었습니다. 유연근무제가 더 폭넓게 확산되기 위해서는 눈치 보지 않고 제도를 활용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특정 시간대에 의무로 근무하는 코어타임제를 도입하여 유연 근무를 확대했을 때 생산성이 높아진 기업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기사출처] 중앙일보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38409?sid=101
"딸 등하원 맞춰 출퇴근 조정해요”...유연근무제 가속하는 대기업
6살 자녀를 둔 직장인 A(39)씨의 하루는 아이를 유치원에 등원시킨 뒤 오전 10시에 시작된다. A씨는 오전 10시에 출근해 오후 7시에 퇴근한다. A씨의 남편은 오전 7시부터 오후 4시까지 근무한 후 아
n.news.naver.com
728x90
'오늘 뉴스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이상 하와이 여행 가지 않겠다? (45) | 2025.05.03 |
---|---|
건강보험료 체납자, 수십억 환급금 논란! 도대체 무슨 일이?? (99) | 2025.05.02 |
정부가 마련한 5월 연휴 비상진료체계 (47) | 2025.05.01 |
결혼식 축의금 얼마나 하세요? (19) | 2025.05.01 |
'민간협력 전대차관' 이라고 혹시 들어보셨어요? (51) | 2025.04.30 |